개발 공부(Programming)
-
※ 자바 복습 2일차 연산자(Operator)는 무엇인가? - 연산자(Operator) -> 어떠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호(+, -, *, / 등) - 피연산자(Operand) -> 연산자의 작업 대상(변수, 상수, 리터럴, 수식) 종류 연산자 사용법 예 산술 +, - a + b a에 들어있는 값과 b에 들어있는 값을 더하는 연산 * a * b a에 들어있는 값과 b에 들어있는 값을 곱하는 연산 / a / b a에 들어있는 값과 b에 들어있는 값을 나누고 몫을 구하는 연산 % a % b a에 들어있는 값과 b에 들어있는 값을 나누고 나머지를 구하는 연산 논리(결과는 논리) && (a > 15) && (b < 15) a에 들어있는 값이 15보다 크고, b에 들어있는 값이 15보다 작은지 논리적으로 판단하는 ..
자바 기초 - 2. 연산자※ 자바 복습 2일차 연산자(Operator)는 무엇인가? - 연산자(Operator) -> 어떠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호(+, -, *, / 등) - 피연산자(Operand) -> 연산자의 작업 대상(변수, 상수, 리터럴, 수식) 종류 연산자 사용법 예 산술 +, - a + b a에 들어있는 값과 b에 들어있는 값을 더하는 연산 * a * b a에 들어있는 값과 b에 들어있는 값을 곱하는 연산 / a / b a에 들어있는 값과 b에 들어있는 값을 나누고 몫을 구하는 연산 % a % b a에 들어있는 값과 b에 들어있는 값을 나누고 나머지를 구하는 연산 논리(결과는 논리) && (a > 15) && (b < 15) a에 들어있는 값이 15보다 크고, b에 들어있는 값이 15보다 작은지 논리적으로 판단하는 ..
2024.02.06 -
※자바 복습 1일차 1) 변수 - 변수는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의 일정 공간 - 변수 초기화는 선언된 변수에 [값]을 넣어주는걸 말한다 2) 변수의 선언 방법 - [데이터 타입] + [변수이름]; ex) int a; //int 타입의 a라는 변수 선언 - [데이터 타입] + [변수 이름] = [값] ; ex) String b = "변수"; //String 타입의 b라는 변수 선언 후 "변수"라는 값을 저장 ※ 초기화 후 변수값은 변경 가능 ex) b = "값"; 3) 데이터의 유형(Type) - 기본형(Primitive type, 원시형) - 실제 값을 저장: 정수(int), 실수(float, double), 문자1(char), 논리(boolean) - 참조형(Reference type) - 객체의 주소..
자바 기초 - 1. 변수 / 데이터의 유형※자바 복습 1일차 1) 변수 - 변수는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의 일정 공간 - 변수 초기화는 선언된 변수에 [값]을 넣어주는걸 말한다 2) 변수의 선언 방법 - [데이터 타입] + [변수이름]; ex) int a; //int 타입의 a라는 변수 선언 - [데이터 타입] + [변수 이름] = [값] ; ex) String b = "변수"; //String 타입의 b라는 변수 선언 후 "변수"라는 값을 저장 ※ 초기화 후 변수값은 변경 가능 ex) b = "값"; 3) 데이터의 유형(Type) - 기본형(Primitive type, 원시형) - 실제 값을 저장: 정수(int), 실수(float, double), 문자1(char), 논리(boolean) - 참조형(Reference type) - 객체의 주소..
2024.02.02